전체기사보기
변진일 ㅣ 김상하 ㅣ 정대성 ㅣ 최경국 ㅣ 홍유선
섹션이미지
구로다 후쿠미
변진일
유재순
김상하
시부이 테츠야
정대성
최경국
홍유선
회사소개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제휴 안내
사업제휴 안내
소액투자
기사제보
HOME > 칼럼 > 김상하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일본 계산법 "하루넘기면 한달치 내라고?"
[김상하의 일본엿보기] 일본식 월정액제의 미스터리
 
김상하(프리라이터)
일본에서 생활하다보면 여러가지 문화적 차이와 관습의 차이에 쉽사리 적응이 안 될 때가 많다. 특히 이런 관습적인 차이가 돈과 관계된 문제일 때는 더욱 납득하기 힘들어 질 때가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나를 당황하게 만들었던 것이 바로 ‘월정액 요금’ 시스템의 차이였다.

한국인이 일본에 와서 이러한 월정액 시스템을 만나게 될 일은 많지 않다. 일본에서 1~3년 정도 머물다 가는 대부분 유학생의 경우에는 일본식 월정액 시스템을 이용할 기회가 많지 않다. 하지만 일본에서 장기간 거주하거나, 유학이 아닌 취업 등으로 일본에 와서 장기간 거주하면서 일본인들과 똑같은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시작하면 월정액 시스템의 황당함을 경험하게 된다.

내가 처음으로 이 시스템을 경험하게 된 것은 후지tv의 vod 서비스인 fod(후지tv온디멘드) 사이트에서였다. 이 사이트는 공중파로는 방영하지 않는 위성방송용 컨텐츠를 유료에 판매하는데, 대부분 방송 1회분 단위로 판매를 한다. 1회분에 105엔~300엔이나 하고 관람 유효기간은 대개 7일 정도에 불과하다. 너무 비싸기 때문에 대개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한달 내내 무제한 볼 수 있는 정액권을 구매하게 된다. 정액권은 방송당 1050엔 정도 하기 때문에 이쪽이 훨씬 저렴하다. 그런데, 이 정액권을 구매하면서 아주 황당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때가 아마도 그달 20일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다음 달 1일이 되자 방송을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정액권을 구입할 때 귀찮아서 대충 넘겼던 주의사항을 다시 꼼꼼하게 읽어보았다. 그리고 알게 된 사실은 그 곳의 정액권은 언제 구매했건 무조건 구매한 달 말일을 끝으로 소멸된다는 것이었다.

한국인의 상식으로는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방식이었다. 보통 20일에 결제했다면 30일 후인 다음 달 19일에 정액권의 유효기간이 끝나야만 한다. 그래서 한국은 보통 ‘30일 정액권’이라는 표현을 쓴다. 그런데 일본은 말 그대로 ‘월액정가권’이었던 것이다.

이어서 상당히 오랫동안 다녔던  헬스클럽 회원을 탈퇴하면서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월정액으로 몇 년 동안이나 다녔던 헬스클럽이었는데, 탈퇴할 때는 신청한 날 바로 탈퇴가 안된다는 것이었다. 물론 여기까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한국 사람이라면 느끼는 또 하나의 황당한 규정이 나온다. 바로 매달 10일을 기점으로 10일 이전에 탈퇴 신청을 하면 당월 말에 탈퇴가 되지만, 10일 이후에 탈퇴 신청을 하면 다음 달 말까지 회원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11일에 탈퇴 신청을 하면 그 다음달 사용료까지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 생활이 길어지면서 이런 시스템이 일본에서는 관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이 이상한 룰에 대한 의문을 갖는 사람이 그다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회사에서 내가 만든 사이트도 결제 방식은 위에 소개한 fod의 결제 방식과 거의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게 되었다.

왜 이런 방식을 사용하는지를 상당히 많은 일본인 친구들에게 물어봤지만 누구도 명확하게 해답을 알고 있는 사람이 없었다. 심지어는 이런 결제 방식에 대해 ‘야후지혜주머니’나 ‘goo알려줘요’ 같은 지식검색 서비스에조차 등록된 질문이 없었다. 그래서 내 나름대로 내린 결론은 아마도 이건 수십년 전부터 이어져 오던 장부 결산 방식의 잔재가 아닐까 하는 것이다. 매월 정해진 결산일을 기준으로 장부를 정리하는 구시대적 관습이 인터넷에도 그대로 남아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분명한 것은 이런 특정일을 기준으로 끊어서 일괄 처리하는 방식이 트러블이 생길 소지는 적다. 가입한 날짜부터 계산해서 매일 서비스 만료를 맞은 회원을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한 달에 한번 일괄정리하는 것이 서비스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좀 더 편리하다.

재미있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 월세는 퇴거한 날까지만 월세를 1/n 해서 지불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굳이 월세가 아니라도 금액이 큰 경우에는 앞서 이야기한 관습이 적용되지 않는다. 월정액을 말일로 끊는 시스템은 대부분 1만 엔 이하 소액 결제에 한해서다. 이것은 아마도 금액이 큰 경우에 그런 운영 편의적인 시스템을 적용했다가는 더 많은 트러블을 겪게 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도 이제는 일본식 월정액제에 적응되어 별 거부감 없이 관습을 따르게 되었지만, 마음 속에는 여전히 큰 의문이 남아 있다. 돈 문제가 얽혀 있다보니, 억울한 건 억울한 거니까.

| 김상하 프리라이터

(김상하 씨는 현재 일본 도쿄에 거주중으로, 만화, 애니메이션, 일본서브컬쳐 정보를 발신하는 파워블로거입니다)
김상하 씨 블로그: http://blog.daum.net/kori2sal/6235775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입력: 2011/04/16 [09:39]  최종편집: ⓒ jpnews_co_kr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전혀 모르고 있던 사실이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생 11/04/16 [11:10]
이런 사실은 일본에 가서 직접 생활하기 전까지는 거의 알지 못하는 그런 사실이라 생각됩니다. 수정 삭제
한국도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나라 11/04/16 [20:01]
한국에서는 각자 태어난 날짜는 다른데 새해가 되면 전국민이 모두 한꺼번에 한살씩 올라가게 됩니다. 심지어 12월말에 태어나도 태어나면서 이미 한살, 며칠뒤 새해가 되면 벌써 두살입니다.
1월달에 태어난 사람과 그해 12월에 태어난 사람은 11개월의 차이가 있지만 같은 나이입니다. 그런데 며칠 뒤 1월에 태어난 사람은 1개월 차이밖에 나지 않지만 동생이 됩니다.
우리에겐 이미 익숙해져 버린 관습이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이상하게 여겨질만합니다.
미얀마에서는 몇월며칠이 생일이 아니고 몇월 몇째주 무슨 요일이 생일이 됩니다.
만약 4월 둘째주 월요일에 태어났다면 다음해 4월 둘째주 월요일이 생일입니다. 날짜는 관계없습니다. 이것도 우리가 보기에는 이상하게 여겨질 수 있는 관습이지요.
수정 삭제
선진국 시스템입니다. 호주보이 11/04/17 [22:48]
한국 사람들은 뭐든지 즉흥적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호주 같은 곳에서 아이가 전학할 때 하루 전에 통보하는 만행을 저질러 학교 당국을 황당하게 만들곤 하지요. 기사로 언급하신 제도는 무엇이든지 계획을 세워 사전에 통보를 함으로써 운영하는 입장도 배려하라는 뜻이며 이를 어겼을 경우의 징벌적 성격이 강합니다. 사실 그것이 합리적이고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한국 사람의 정서상 부당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로마에서는 로마 법을 따라야 하겠지요. 수정 삭제
소비자가 예의 차리는 것도 좋습니다만... akanechang 11/04/18 [10:00]
반대로 월급날이 10일이고 입사한 날이 8일쯤인데 피고용인이 일하지도 않은 다음달 월급을 내놓으라고 하면 말이 안되죠? 현대라는 것이 시간관리의 단위가 1분 이하로 내려 온 만큼 과거와는 생활패턴이 판이하게 틀린데도 계획적인 삶을 산다는 것이 생각외로 힘들지요. 오히려 분단위로 빡빡하게 돌아가는 일상 생활은 언듯 보기에는 계획적으로 보일지는 몰라도 예상외의 사태가 벌어지면 시간 배분에 마찰이 심하죠. 그런 상황에서 월단위의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업체의 사정에만 맞춘다는 건 다분히 일방적입니다. 물론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업주의 입장에서 이런 리스크에서 벗어나고픈 맘이야 당연히 이해를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소비자의 요구에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사업자 소비자 모두에게 이롭죠. 아무리 사업주에게야 시시한 푼돈이 될지라도 그거 벌려고 직장서 갈굼 당하는 사라들의 입장도 고려해야 하는거죠. 수정 삭제
일본에 소비자 단체가 없다더니 agippa 11/04/18 [18:44]
그말이 맞나보군요. 저렇게 불합리한 제도를 아무 의문도 없이 그대로 쓰고 있으니 수정 삭제
선진국 시스템은 무슨... 이성진 11/04/18 [18:47]
그냥 일본의 관습입니다. 일본은 관습이 뿌리 박혀있는 나라입니다. 계약서보다 관습이 더 통용되죠. 예를 들어 발주를 내서 계약서를 작성해도 서류자체보다 당사자간의 합의나 구두약속이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해온 관행이 거의 그대로 실천되는 나라가 일본입니다. 미리 통보라는게 언뜻 좋아보일수 있지만 합리적인 계산 방식은 아니죠. 요즘같이 전산화가 일반적인 세상에서 웃기는 일이죠. 수정 삭제
시스템이어쩌고 관습이 어쩌고 하는데 갈매봉 11/11/18 [22:04]
내가보기에는 기득권층 이 서민들 피빠는것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니던데
있는사람들 편리하게 계산하는거야
월세를살아도 처음들어갈때 살게해줘서 고맙다고 1..2달치 더지불해야 되고 나올때는 벽지라든가 다다미 전부 교체하고
보증금에서 까고주지 물론 월세는꼬박꼬박 지불하고. 전세도 없지
계약기간 다되어서 더살고싶으면 갱신료 라고 1....2달치 더지불해야되지
갱신료 이문제는 어떤사람이 억울하다고 재판를해서 대법원까지갔는데 최고재판소에서도 지불하는게 정당하다고판결하던데
서민이 안먹고 안쓰고 열심이 저축해서 중산층되면 안되거든
그러면 허드렜일 할사람이 없어 수정 삭제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연재소개 전체목록
日국민 걸그룹 눈치 보는 日언론
日 한국 화장품 몰아내기 시작됐나
인터넷 알바, 스텔스 마케팅의 리스크
가정부 미타는 일본인이 바라는 히어로?
'25살의 벤처 신화' 日리브센스의 성공
일본식 한국요리? 일본인도 다 알아요!
"그 자리 제가 5년 전부터 쓰던 곳인데요"
일본 젊은이 부당함에 너무 덤덤하다!
au는 정말로 iPhone5를 제공할 수 있나?
일본 모든 신청엔 융통이 통하지 않아!
日 쟈니스는 인터넷과 원수지간?
일본이 이민국가라구요?
일본의 악플러 '네토우요'를 아시나요?
日 잡지왕국이 무너지고 있다
왜 일본어에는 적나라한 욕이 없을까?
이 상품은 일본에서만 판매하겠습니다
日 "한국미남을 왜 테리우스라고 해요?"
日최저가 경쟁, 얼마까지 알아보셨어요?
AKB48의 인기, 상술 뿐만은 아니다
일본, 이사를 하고 나면 거지가 된다
최근 인기기사
일본관련정보 A to Z
  회사소개회원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광고/제휴 안내사업제휴 안내소액투자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일본> (株) 文化空間 / (株) ジャポン 〒169-0072 東京都新宿区大久保 3-10-1 B1032号 
Tel: 81-3-6278-9905 Fax: 81-3-5272-0311 Mobile: 070-5519-9904
Copyright ⓒ JP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jpnews.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