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중, 식민지 통치하 한반도로부터 일본의 탄광이나 공장으로 보내져 강제노동에 종사하다 사망한 '민간인 징용자'로 보이는 유골 중 42구의 유족이 한국 내에서 확인됐다고 아사히 신문이 23일 보도했다.
다만, 신문은 일본 각지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이 2천구가 넘고, 전후 65년이라는 시간의 벽도 있어 신분확인이나 유족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반도 출신 민간징용자 유골을 둘러싸고 2004년 12월 한일정상회담에서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에게 유골의 확인을 요청, 이듬해 05년부터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조사가 시작됐다.
후생성 인도조사실에 따르면 일본각지의 사원이나 납골당 등으로부터의 정보를 모은 결과 유골의 수는 올해 7월말까지 계 2,643구. 후생성은 현장에서 조사를 계속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765구에 대해서 한반도 출신자임을 확인했으나 560구는 출신지 확인을 못했다고 한다.
일본정부는 이러한 정보를 한국측에 제공했으며, 한국정부기관의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유골의 신분확인을 진행한 결과, 지금까지 유골의 이름이나 생년월일, 본적지의 기록 등으로부터 42구의 유족이 확인됐다고 한다. 21구에 대해서는 신분이 확인되었으나 유족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고 신문은 전했다.
22일 한국병합조약체결 100년을 앞두고 나온 간 나오토 수상의 담화에서는 유골반환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구 일본군의 군인,군속의 유골반환은 계속하고 있으나 민간징용자에 대해서는 반환사업을 실시한 적이 없다. 한일 시민단체 등 민간레벨에서 진행되었을 뿐이다.
이번 조사로 확인된 유골 반환에 대해서 한일 당국자간 협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나, 한국정부기관의 담당자 오일환 씨(41)는 "유족도 고령화되고 있으니, 일본정부가 책임을 지고 하루라도 빨리 유골을 돌려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