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복면데스크의 日 스포츠 ㅣ 신경호, 전영미 일본 베리어프리 ㅣ 고성미의 도쿄사진 갤러리 ㅣ 이신혜 재일의 길 ㅣ 당그니의 규슈여행기 ㅣ 간노 기자의 서울이야기 ㅣ 강명석의 우에무라 전 아사히 기자를 말한다
섹션이미지
복면데스크의 日 스포츠
신경호, 전영미 일본 베리어프리
고성미의 도쿄사진 갤러리
이신혜 재일의 길
당그니의 규슈여행기
간노 기자의 서울이야기
강명석의 우에무라 전 아사히 기자를 말한다
회사소개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제휴 안내
사업제휴 안내
소액투자
기사제보
HOME > 기획연재 > 신경호, 전영미 일본 베리어프리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장애인 문제, 한일 문화차이에서 생각하다
[신경호 칼럼] 왜 장애인은 당당하게 요구하지 못하는가?
 
신경호(동화작가)
왜 장애인은 당당하게 요구하지 못하는가?
한,일의 문화적 차이에서 장애인의 문제를 바라본다
 
지난 글의 댓글에서 어느 분이 장애인들을 향해 따끔한 충고를 해주셨다. “요즘 장애인 인권 외치는 사람들이 ‘측은지심’을 부정하는 것 같다"며 "장애인들이 스스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아니냐? 비장애인들도 서로 도움 받고 살아가는데 장애인 스스로 도움을 받는 것이 모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몸의 장애가 문제가 아니고 정신적 장애가 문제인 듯 하다”라는 지적이었다.
 
100% 옳은 말씀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 장애인이 이 사회에서 당당하게 외치기는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왜 그럴까 지난주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아직 잘 모르겠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간단한 문화적 차이를 통해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일본에서 음식점을 가본 사람이면 계산대 앞에서 삼삼오오 모여 계산을 기다리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함께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신 사람들이 각기 자기가 먹은 것을 더치패이(일본에서 ‘와리캉’이라고 한다)를 하기 위해 따로 계산을 하는 것이다. 한국에선 좀처럼 보기 힘든 광경이다. 내가 일본에서 처음 접한 문화적 충격(?)이 이 광경이 아닐까 한다.
 
한국에선 으레 상사나 남자친구가 아니면 그 날 주머니가 조금 두둑한 사람이 값을 지불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것도 아니면 "밥은 네가 커피는 내가" 하는 식으로 계산대 앞에서는 한 사람이 전부의 값을 지불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생각했던 나로서는 이런 광경이 여간 낯설지 않았다.
 
그것 뿐이 아니다. 패밀리 레스토랑은 메뉴가 엄청 많다. 그런데 7-8명이 우루루 몰려가서 점심을 먹을 때도 모두 각자의 메뉴를 주문한다. 한국에선 그냥 ‘김치찌개로 통일’ 뭐 이런 문화에 익숙해있던 나로서는 그 많은 사람들이 메뉴를 고르고 주문할 때 곁에서 기다리는 종업원에게 매우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메뉴 만이 아닐 것이다. 가게가 조금 붐빌 때 이곳을 이용할라치면 괜시리 “빨리 먹고 나가줘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했다. 지금은 조금 익숙해져서인지는 모르겠다만 이런 생각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진 듯 하다.
 
얼마전 한국에서 처형이 일본에 왔을 때의 일이다. 처형과 우리 가족이 점심을 먹기 위해 시부야에 있는 스파게티집을 갔다. 사람들이 꽤 많은 식당이어서 자리에 앉기까지 조금 기다려야 했다. 그런데 처형이 조금 안절부절 하는 것이었다. “야. 이 집 무지 바쁜가 보다.  눈치 보이니까 빨리 먹고 나가자.”라며 종업원들의 눈치를 보았다. 아내는 “가게에서 천천히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것이 우리의 권리이니 괜찮다.”며 처형에게 말했지만 처형은 아무래도 미안한 모양이었다.
 
그러다가 내가 화장실을 간다며 종업원에게 안내를 부탁했다. 그러니 처형은 자기가 안내해도 되는데 왜 바쁜 종업원을 부르냐며 핀잔을 주었다. 이런 경우는 작은 일이지만 이런 작은 일이 모여서 커다란 사회적 문화를 만든다고 생각한다. 실제 나는 일본 가게에서는 종업원에게 화장실 안내를 당당하게 요구하는 편이지만 한국에 가면 친구들에게 부탁을 하곤한다.
 
나는 주로 순대국이나 작은 규모의 생맥주집을 좋아하는데 이런 집들은 대개 주인 아줌마 혼자서 운영하는 곳들이 많고 그런 가게를 이용할 경우 화장실 안내를 부탁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경우에도 문제가 생긴다. 늘 가는 단골집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처음 가는 가게의 경우 술마시던 두 사람이 함께 화장실을 가기 위해 밖으로 나가면 몰래 술값 안내고 도망가는 것으로 오해나 받지 않은가 하고 괜한 걱정이 들기도 한다.(사실 젊을 때는 이런 못된 짓 많이 했다)

장애인 이야기를 하다가 왠 뚱딴지 같은 이야기냐고? 작지만 이런 권리를 찾는 아니 찾을 수 있는 문화와 그렇지 못한 문화에서 삶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같는 태도는 분명히 다르다.

 
만약 내가 일본에서처럼 당당하게 안내를 요구하기 위해선 한국에선 참 많이 투쟁 아닌 투쟁을 벌여야 한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한국에서 지하철의 공익요원에게 안내를 받을 때도 기분 좋게 안내를 받은 경험 보다는 “왜 장애인이 돌아다녀서 가뜩이나 바쁜 사람 귀찮게 해!”라는 인상을 많이 받곤 했다. 그러다 보니 나 같은 다혈질의 사람들은 목소리가 커지고 싸우게 되고 내 아내같이 마음이 약한 사람들은 “그저 참는게 좋은 것이다.”라고  자기변명을 하게 된다.
 
당당하게 요구하는 것. 그거 정말 필요하고 장애인들이 해야할 일이다. 그러나 실제 그렇게 되지 못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다.
 
오죽하면 장애인의 활동을 돕기 위한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받을 때조차도 도우미의 눈치를 보는 경우가 있으니 말이다. 내가 아는 시각장애인이 활동보조인에게 산책을 하고 싶다고 했더니 자기는 무릎이 아파서 산책이 힘들다며 투덜거렸다고 한다. 그렇다고 활동보조인 바꿔 달라고 하기에도 사실상 어려운 문제여서 눈치 봐가며 부탁을 한다고 하는 말도 들었고, 다른 남자 시각장애인은 자기가 요리가 서투르기 때문에 요리를 부탁하자 “집에서도 매일해서 짜증나는 요리를 이곳에서도 해야 하느냐!”는 핀잔을 들었다고 한다.
 
이런 경우는 매우 극단적인 경우겠지만 장애인의 활동 보조 서비스에서 조차 이런일이 벌어진다면 일반적 사회 환경은 어떠할까? 물론 장애에 국한된 일은 아니다. 자기 권리를 자기가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사회여야, 숫자가 적다고, 경제적으로 힘들다고, 외국인이라고, 여성이라고, 동성애자라고 자기 권리를 침해받았던 사람들이 조금 기를 펴고 살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제이피뉴스 최신기사] 

 
일본 내 '홍초' 붐, 카라 광고 효과 톡톡!
 
후쿠시마 원전서 역대 최고 방사선 검출

日 뇌과학자 한류논란 비난 "유치한 애국심"

케이팝 야외무대, 폭우 속 2만 팬 환호- 카라
 
일본 울릉도 시찰단 한국도착

일본의 악플러 '네토우요'를 아시나요






 

ⓒ 일본이 보인다! 일본전문뉴스 JP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입력: 2011/08/02 [12:58]  최종편집: ⓒ jpnews_co_kr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사람에게는 특이한 '뉴런'이 있다던데 흥미있는 기사다 11/08/03 [07:15]
그 뉴런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고 빠르게 동조하게 만든다고 한다. 누군가 슬픈 이야기를 하면 슬픈 마음이 들고 누군가 바쁘고 힘들게 보이면 안쓰러운 마음이 드는 것은 이 뉴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누군가 이런 뉴런이 움직이지 않는 환경에 놓여있고 다른 누군가는 오해한다면 어떨까? 예를 들어 일에 만족하지 못하면서 먹고살기 위해 다른 일자리가 주어지지 않아 못떠나는 '활동보조인'이 '장애인'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하지 않았다면 '장애인'은 이 뉴런이 작동할 수 있다. 혹은 갑자기 몸이 불편해서 이런 경우가 생길 때도 장애인의 뉴런이 작동할 것이다. 그러면 '장애인'은 미안한 마음에 움츠러든다. 이런 일이 장애인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산길을 가다 목이 마르지만 물을 마실 때를 못찾아 어느 집에 들려 물을 좀 먹을 수 없느냐고 하니 집주인이 퉁명스럽게 좀 더 가면 우물이 있다고 해서 미안한 마음을 갖고 우물을 찾아본 적이 있다. 물론 우물을 못찾고 참고 길을 가야했지만 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유사한 경험은 많이 할 수 있다. 구조적인 사회문제는 일정한 틀을 만들거나 바꾸어 해결해야 한다. 한국처럼 복지가 OECD 가맹국의 바닥권을 헤매고 있는 나라라면 당연히 좀 더 많은 비용을 들여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틀안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자주 닿으면 좀 더 당당히 서로에게 요구할 수 있겠지 하고 상상해본다. 수정 삭제
장애들의 삶의 질과 사회문화간 ss 501 11/08/03 [08:52]
차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일본이란 사회가 장애인이란 존재에 대해서 지금과 같은 태도를 갖게된 것이 과연 문화적 배경에서만 찾는다면 그것은 시작과 성숙단계를 혼동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내용 중 시험장에서 느낀 장애인에 대한 배려 또한 일본만의 배려라고 지금은 말할 수가 없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공무원시험 중 일정비율 장애인을 구분모집하는 단계에서 그 장애인들에게는 선생님의 글 같은 점자, 큰 활자 시험지, 음성언어 지원시험등이 제공되고 시험시간도 좀 더 길며 심지어 시험당일 시험장소까지의 이동도 신청하면 정부가 지원해줍니다. 10 여 년 전만에도 상상도 못했던 이야기들입니다.

결론적으로 문화 이전에 이처럼 법률적, 제도적인 측면이 먼저 움직여야 시작되는 것이고 그로인한 인식의 변화가 사회전반의 장애인들에 대한 태도변화를 이끌어 비로소 문화라고 말할만한 성숙단계까지 간다고 봅니다.
그러한 제도적, 법적 배려가 의식을 변화시켜 문화로써 불리우는 단계에 이르는 것이지 문화란게 기존부터 있었던 사회는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이는 일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에 대한 배려는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그 변화속도는 다른 국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멈추지 않고 그 사회의 문화로까지 다다르도록 노력하면 일반이들의
의식뿐 아니라 장애들의 의식까지도 변화되어 한 사회의 문화로 정착될거라 믿습니다. 그리고 그를위해 조그마한 거라도 작은 정성이라도 보태는 것이 개인적으로 지금 할 수 있는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수정 삭제
신경호씨 솔직하게 말해보시죠 최초의인디언 11/10/12 [17:42]
본인 스스로 당당하다고 말할수 있나요?
메일확인했다고 말만할뿐
내가 전화를 하지 않았으면 나는 계속 [메일확인안함]으로만 생각했겠네요.
스스로 생각해보시죠.
오죽하면 휴대폰메일까지 보낼정도였는지 생각해보시죠~ 수정 삭제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연재소개 전체목록
기해년 경제왜란 7편: 재규어센터
기해년 경제왜란 6편: 다시 굴뚝으로
기해년 경제왜란 5편: 가에시(되치기)
[신경호 연재]토착왜구
[신경호 연재] 개와 늑대의 시간
[연재] 기해년 경제왜란 2편 - 굴뚝새
[연재] 기해년 경제왜란 1편 - 밀약
'그 겨울' 송혜교, 요런 거 알았다면...
시각장애인도 하이힐 신습니다
한국서 아이 아프면 병원비부터 걱정
그 여배우 가슴 노출 몰랐다니까!
나는 네가 지난 투표에 한일을 알고 있다
장애인 사장님 "사업하기 너무 어려워"
심봉사의 넋두리, 들어보시렵니까?
장애인, 길 걷다 황당하게 낭심 차이다
시각장애인 위한 TV? 쓸데없는 배려!
시각장애인도 뮤지컬 보고파
"신성한 국회에 장애인보조견은 안돼?"
장애인 문제, 한일 문화차이에서 생각하다
‘보통’의 반대말은 ‘곱빼기?’
최근 인기기사
일본관련정보 A to Z
  회사소개회원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광고/제휴 안내사업제휴 안내소액투자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일본> (株) 文化空間 / (株) ジャポン 〒169-0072 東京都新宿区大久保 3-10-1 B1032号 
Tel: 81-3-6278-9905 Fax: 81-3-5272-0311 Mobile: 070-5519-9904
Copyright ⓒ JP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jpnews.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