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가전업체인 파나소닉이 8일 경영 방침 설명회에서 창업 100주년이 되는 2018년에는 삼성전자를 누르고 전자업계 세계 톱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파나소닉은 작년말, 산요전기를 자회사로 삼은 뒤, 산요가 강점으로 삼고 있는 태양광 발전 등 환경 에너지 관련 사업을 보다 강화하고, '환경혁신기업'을 목표로 하는 2010년도 경영방침을 발표했다. 파나소닉은 현재 산요가 생산하는 태양전지의 생산능력을15 년도에 현재의 4.4배로 끌어올려 세계 점유율도 현재의 11위에서 3위 이내로 들어갈 것을 명확히 했다.
오쓰보 후미오 사장은 8일 "창업 100주년인 2018년에는 세계 전자 업계에서 톱 기업을 목표로, 환경 에너지 사업이 전체 매출의 30%에 해당하는 3조엔 이상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마이니치>(1월 9일자)는 전했다.
파나소닉은 또한 평판 tv에서도 09년도 1,500만대에서 10년도에는 2,000만대, 12년도 이후에는 3,000만대로 증산을 노리고 3d 영상대응기기 등 고부가 가치제품 도입으로 가격 하락을 억제해 tv 사업의 흑자화를 꾀한다.
마이니치는 파나소닉의 이번 발표에 대해 "산요 매수로 강화된 태양 전지와 친환경 기술을 지렛대로 삼아, 가전 사업등에서 크게 앞서고 있는 삼성전자를 추격하겠다는 자세를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특히 파나소닉의 오쓰보 사장이 "가장 강력한 선두 회사로 삼성 전자"를 의식하고 있지만, 규모로서는 파나소닉·산요 연합도 밀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수익성. 파나소닉·산요의 영업 이익이 810억엔인 것에 비해, 삼성은 5배이상인 4,693억엔으로 압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 파나소닉 ・산요연합과 삼성 비교 ©jpnews | |
신문은 삼성의 높은 수익성의 배경에 대해 "몇년간 지속된 엔고·원화 하락의 영향도 있으나, 일관된 대규모 생산 체제에 의한 저비용 체질 때문"이라며, "삼성이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저가격 경쟁을 펼친다 하더라도, 아시아와 남미 등 신흥국 시장에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이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마이니치는 "삼성의 과감한 글로벌 전략이 평판 tv 세계 점유율(시장 점유율) 1위, 반도체와 휴대폰 단말기 2위라는 제국을 떠받치고 있는 셈"이라고 풀이했다.
오쓰보 사장은 이에 8일 기자회견에서 '삼성과 정면 승부하는 것은 어렵다'는 속내를 털어놨다. "디지털 부문의 단품만 가지고는 승부하기 매우 어렵다"라고 말한 그는 대안으로 "환경, 에너지 분야라는 다른 토양에서 비즈니스나 기술을 늘리는 것이 삼성에 대항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산요 연합으로 전자 제품 뿐 아니라 전지 분야 등 다른 길을 통해 우회를 하겠다는 것이다.
▲ 전지에 강한 산요전기의 신형 에네루프 발표회 ©야마모토 히로키 / jpnews | |
그러나 <니혼게이자이신문>(1월 9일자)은 "삼성도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삼성이 최근 밝힌 20년 매출목표 36억엔 중에서 전지 분야에 대한 기대도 크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또 "일본기업이 개척한 분야에 삼성이 대형투자로 공격해들어오는 패턴을 기획하고 있을 공산이 크다"라며 경계감을 늦추지 말것을 주문했다.
실제로 파나소닉·산요 연합이 점유율 35%을 차지해 있는 세계 1위의 점유율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사업에서도 삼성은 그룹 차원(세계3위)에서 강화, 추격하고 있다.
마이니치는 삼성이 "2020년 연결 매출을 08년 실적의 4배 이상으로 끌어 올려 전 사업 부문에서 세계 점유율 1위를 노릴 것(삼성 간부)"이라며, 공격 자세는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에 파나노닉 오쓰보 사장은 "환경·에너지 사업의 강화 뿐 아니라 신흥국에서 저가격 생활가전제품과 tv 등 대중을 대상으로 한 제품 사업에도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마이니치는 "파나소닉이 해외 매출 비율을 높여 글로벌 전략을 가속시킬 방침이지만, 삼성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수익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업계 1위를 향한 길은 험난해 보인다."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닛케이도 "파나소닉이 산요를 자회사로 만든 상승효과를 살리기 위해서는 양사의 중복사업 정리가 불가결하며, 조기에 성장분야와 철수분야를 결정한뒤 '스케일과 속도'를 보다 올리지 않으면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